본문 바로가기
영화를 보다/한국영화

[영화] 말모이

by 똥이아빠 2019. 1. 20.
728x90
[영화] 말모이
일제강점기 시기, 매국노를 제외한 민중들의 삶은 노예로 전락해 고통스럽다. 저항하지 못하고 노예처럼 살아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우리말을 지키려는 극소수의 학자들이 있었기에, 지금 우리는 우리말을 훌륭하게 읽고, 쓰고, 말하고 있다. 말과 글이 곧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을 간직하고 있음을 우리는 잘 알지만, 그것을 지켜온 지난 역사가 얼마나 고되고 험난했는지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영화는 우리말 사전을 만들기 위해 목숨을 걸었던 조선의 우리말 학자들의 활약을 그렸다. '조선어학회' 사건은 역사에서도 유명하고, 해방 뒤에 우리말 사전이 곧바로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일제강점기에서도 우리말과 글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학자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영화에서는 '판수'라는 무지한 민중과 류정환으로 대표하는 학자들이 나온다. 건달에 소매치기로 세상을 살아가는 판수는 아들과 딸이 있고, 두 아이를 끔찍히 생각한다. 판수에게는 아내가 없고, 두 아이에게는 엄마가 없다. 엄마가 없다는 사실은 영화에서 끝내 나오지 않는다. '엄마'는 바로 '조국'이기 때문이다. 조국을 빼앗긴 민족에게 '나라'가 없는 것처럼, 여기서 '엄마'는 곧 조국, 모국이다. '나라'는 흔히 '모국, 어머니의 나라'라고 말하는 것을 보면, 판수의 아이 덕진과 순희에게 '모국' 즉 '엄마'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판수는 동료와 소매치기를 하다 류정환을 만나게 되고, 이 인연은 돌고돌아 결국 판수가 '조선어학회'에서 일하게 되는 결과에 다다른다. 글을 읽지 못하는 판수는 눈뜬 장님이다. 무지하고 무식한 민중을 대표하는 판수는 당시 일제강점기의 민중을 은유한다. 세상 물정에 어둡고, 일제의 폭력에 저항하기를 포기하고, 목구멍에 풀칠을 하려고 동족의 주머니를 훔치는 저열한 인간 판수는 그러나, 글을 배우면서 자신이 누구인가를 깨닫는다. 글을 배우는 것은 곧 정신이 깨어나는 것을 뜻한다. 글자를 읽고, 자기가 말하던 것을 글로 쓸 수 있게 되면서, 해가 있어도 어둡던 세상이 밝아지는 것을 느낀다.
판수는 단지 돈을 벌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조선어학회에서 일하는 것이 아니다. 그가 대단한 신념을 가진 것도 아니지만, 그가 몽당연필을 꾹꾹 눌러 쓴 마지막 편지에서 볼 수 있듯, 자신이 한글을 지키는 것은 자식들(후손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아버지(조상)가 되려는 마음 때문이었다. 이기적인 인간에서, 자식과 후손을 생각하는 이타적인 인물로 발전하는 판수는 말과 글의 힘을 기록하는 우리말의 정신을 통해 변하는 인물이다.
판수가 사전 원고를 들고 도망하다 어렵게 가방을 숨기고 일제의 총에 맞아 죽을 때, 그가 입고 있던 하얀 와이셔츠에 피가 흐르는 것은, 일제의 총칼에 죽은 조선의 백성을 상징한다. 하얀옷은 조선민중의 상징이며, 피는 민중의 피, 조선역사의 피, 조선언어의 피다.

일제강점기의 상황을 다룬 영화들이 드물게 나오는데, 이 시기를 다룬 영화를 만드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어려움이 있다. 일제강점기에 관한 대중의 관심이 그리 크지 않다는 것, 대중은 일제강점기에 관해 거의 대부분 알고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일제강점기를 대표하는 것은 독립운동이고, 독립운동에 관해서는 한국사람이라면 누구나 기본 지식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소재의 어려움이 있고, 관객을 동원할만큼 매력이 있어야 한다.
둘째는 지나친 민족주의를 경계해야 한다는 점이다. 일제강점기 시기를 그리다보면,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원한과 증오가 사무치고, 일본놈들보다는 거기에 자발적으로 매국노가 되어 같은 민족을 착취하고 괴롭힌 조선인 매국노들에 대한 원한이 크기 때문에, 더 강렬하게 복수하거나 처단해야 하는, 그래서 민족주의 관점을 부각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런 면에서 독특한 소재와 캐릭터를 만든 영화 '놈놈놈'은 일제강점기를 무대로 하는 영화에서 매우 특별하다. 최근 몇 년 사이 '암살', '밀정', '군함도', '라디오데이', '박열', '동주', '귀향', '아가씨', '아니키스트' 같은 영화들이 관객을 찾았고, 훌륭한 내용으로 흥행에 성공한 작품도 있고, 실패한 작품도 있었다.
일제강점기를 다룬 영화는 앞으로도 더 많이 나올 것이고, 나와야 한다. 36년의 일제강점기에서 벌어진 일은 몇십 편의 영화로 담아낼 수 없는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것은 대개 고통스러운 민중의 역사겠지만, 이 영화처럼 끈질긴 승리의 역사도 들어 있다.
유대인은 자신들이 겪은 수난의 역사를 지금도 꾸준히 영화로 만들고 있다. 유대인이 역사에서 겪었던 어려움이 있고, 나치에 의해 많은 유대인이 학살당한 것도 사실이지만, 그들이 지금 이스라엘을 세우고, 팔레스타인에게 하는 짓을 보면 그들이 '당했다'고 말하는 주장에 설득력이 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36년, 또는 그 이상의 역사에서 일본에게 당한 역사의 기록이 생생하게 남아 있고, 우리 민족은 일본의 강압에서 벗어나 역사, 경제, 문화, 예술 모든 분야에서 일본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우리 민족이 유대민족보다 더 훌륭하다는 것을 주장해도 좋겠다.

글을 업으로 삼고 있다고 생각하는 나에게는, 이 영화가 조금 더 특별하다. 우리의 글-한문이 아닌 한글-을 지키려는 학자와 민중의 노력이 헛되지 않고, 일제의 만행으로 죽어간 훌륭한 조상이 있었음을 새삼 확인할 수 있는 영화였다. 우리의 말과 글을 지키는 것은 곧 우리의 역사와 민족의 영혼을 지키는 것이라는 말은 지극히 당연하고 옳다.
그래서 말하고 글 쓰는 것에 더 조심하고, 자부심을 갖고, 행복하게 여긴다. 우리에게 '한글'이 있다는 것이 얼마나 대단하고, 위대한 것인지를 정작 우리 스스로 잘 모르거나, 과소평가하는 것은 아닐까.

감독 엄유나는 영화 '택시운전사'의 각본을 쓴 이다. 이 영화는 그가 각본을 쓰고 연출한, 감독 데뷔작이기도 하다. 영화에서 푼수같은 판수(유해진)의 연기가 돋보이긴 하지만, 무엇보다 어린 순희(박예나)의 모습에서 이 영화가 30년대 영화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순희는 그 어린 모습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1930년대를 떠올리게 되는 신비한 매력이 있다. 30년대 얼굴이라니. 감독은 무거운 소재에 가벼운 이야기를 곳곳에 배치해 웃음과 눈물을 함께 흘리게 만든다. 우리글을 지키려 목숨을 바친 한글학회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잘 만들어서 반갑고 고맙다.


반응형

'영화를 보다 > 한국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생충-빈민의 시각  (0) 2020.02.09
남산의 부장들-치졸한 권력자의 종말  (0) 2020.01.26
블랙머니  (0) 2019.11.18
[영화] 악인전  (0) 2019.10.08
[영화] 극한직업  (0) 2019.02.07
[영화] 마약왕  (0) 2019.01.14
[영화] 국가부도의 날  (0) 2019.01.04
[영화] 뫼비우스  (0) 2018.11.20
[영화] 서울의 휴일  (0) 2018.11.15
[영화] 어느 여대생의 고백  (0) 2018.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