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를 보다/미국영화

뉴스 오브 더 월드

by 똥이아빠 2021. 2. 20.
728x90

뉴스 오브 더 월드

 

남북 전쟁이 끝나고 5년이 지난 1870년, 키드 대위는 텍사스주 일대를 돌아다니며 마을 주민들에게 돈을 받고 신문을 읽어주는 일을 한다. 키드 대위는 남군 출신이어서 전쟁에 진 남부를 통제하고 있는 북군의 검문에 공손하게 대답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북군의 총에 맞아 죽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북군은 점령군으로 남부에 진출했고, 전쟁에 참여했다 패한 남부의 여러 주를 '미합중국'의 연방으로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중이다. 당연히 남부의 인민들은 북부가 주도하는 연방제에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었다.

키드 대위가 남부의 마을을 돌아다니며 신문을 읽어주며 돈을 벌 수 있었던 건, 당시 인민 대부분이 글을 읽을 줄 몰랐기 때문이기도 하고, 신문을 매번 사 볼 수 없을 정도로 가난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인민은 급격하게 변하는 사회의 변화를 뉴스를 통해 알고 싶은데, 정보를 들을 수 있는 방법은 신문을 읽는 것이고, 그것이 불가능한 사람들을 위해 키드 대위는 '신문 읽어주는 남자'가 되어 남부를 떠돌고 있었다.

키드 대위가 길을 가다 우연히 부서진 마차를 발견하고, 그 안에 있던 소녀를 보게 된다. 이 소녀는 영어를 하지 못했고, 마차에서 찾은 문서에서 소녀가 가야하는 목적지를 알게 된다. 키드 대위는 북군 기지를 찾아가 소녀가 사고를 당해 지금 혼자이며, 가족이 먼 곳에 있으니 찾아달라고 말하지만, 북군은 담당자가 없고, 최소 3개월을 기다려야 한다고 말한다.

키드 대위는 소녀를 가족에게 데려다주기로 마음 먹는다. 소녀는 독일어를 하지만 마치 야생에서 들개처럼 자란 것처럼 보인다. 영화에서는 소녀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소녀가 백인 사회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행동, 이동하는 아메리카 원주민 무리를 보며 자기도 데려가 달라고 울부짖는 걸 보면서, 이 소녀가 어릴 때부터 아메리카 원주민들과 함께 살았음을 추측할 수 있다.

키드 대위는 소녀를 가족에게 데려다 주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소녀를 딸처럼 생각하게 된다. 키드 대위의 가족 이야기는 나오지 않고, 그의 아내가 젊은 나이에 콜레라로 죽었다는 장면이 짧게 나온다. 고향을 찾았을 때, 친구에게 전해들은 아내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키드 대위는 자신이 보고, 듣고, 경험한 것 때문에 저주가 내렸고, 그로 인해 아내가 죽었다고 말한다.

이것은 키드 대위의 개인적 독백처럼 들리지만, 사실은 미국의 역사에서 백인들이 저지른 온갖 만행을 압축한 상징적인 독백이기도 하다. 미국의 역사는 처음부터 학살의 역사였으며, 백인에 의한 다른 인종의 학살, 전쟁이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잔혹했음을 의미한다.

키드 대위는 소녀를 딸처럼 여기며 보살피고, 소녀를 가족들이 있는 곳까지 데려가는 과정에서 소녀를 해치려는 백인들과 맞서 싸우고, 죽을 고비를 넘기며 어렵게 목적지에 도달한다. 소녀를 가족에게 안전하게 데려다 준 것에 만족하고 돌아서지만, 키드 대위는 다시 소녀를 찾아간다. 그곳에서 발에 밧줄이 묶인 소녀를 발견하고, 다시 소녀를 데리고 나온다. 소녀를 받아들인 부부는 친부모가 아니었고, 단지 노동력이 필요해서 소녀를 받아들인 것이었고, 들개처럼 행동하는 소녀를 길들일 수 없음을 고백한다.

키드 대위는 소녀를 데리고 나와 함께 남부를 떠돌며 신문을 읽어주는 일을 계속한다. 키드 대위는 소녀의 아버지 노릇을 하고, 소녀는 들개처럼 떠돌던 삶에서 문명사회로 들어오게 된다. 두 사람은 가족을 이루게 되고, 이것은 백인이 저지른 범죄의 반성과 야생에서 고난의 삶을 살았던 아메리카 원주민과 유색인종의 화해를 보여주는 장면이지만, 이렇게 따뜻한 영화를 그저 따뜻한 마음으로만 볼 수 없다는 것이 이 영화의 한계이기도 하다.

다른 영화 '늑대와 춤을'에서 백인 군인이 아메리카 원주민의 삶으로 들어가 백인 문명-학살과 침략의 역사-을 거부하고, 스스로 아메리카 원주민으로 살아가는 이야기가 흥행에도 성공한 예가 있었다. 특수한 경우이긴 하지만, 백인들의 범죄를 반성하고, 아메리카 원주민의 역사와 문화, 그들의 삶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이야기는 꾸준한 지지를 얻고 있다.

그럼에도 백인 주류 사회는 아메리카 대륙을 침략한 이후, 백인이 저지른 온갖 만행에 관해서 은폐하려는 시도를 지금도 하고 있다. 이런 백인 주류 사회의 역사 은폐를 정면으로 비판한 학자가 '하워드 진'이다. 그는 '미국민중사'를 통해 미국의 역사라고 말하는 백인의 역사가 얼마나 왜곡되고, 미화되었으며, 진실이 은폐되었는가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헐리우드가 아주 드물게 백인이 저지른 역사에서의 범죄를 자백할 때가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그들의 범죄행위가 용서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용서를 비는 행동과 실천은 당연히 꾸준해야 하고, 사죄와 반성의 증거를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지금도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차별 정책을 멈추지 않고 있으며, 백인이 아닌 다른 인종에 대한 차별과 멸시가 심각한 사회 문제인 미국에서, 이런 영화가 한편 나왔다고 호평을 얻을 거란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물론, 이런 영화가 나오지 않는 것보다는 좋지만, 가해자가 어설프게 화해를 말하는 건, 오히려 피해자를 더욱 고통스럽게 만드는 행위라는 걸 깨달아야 한다.

 

 

 

반응형

'영화를 보다 > 미국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힐빌리의 노래  (0) 2021.05.06
고잉 인 스타일  (0) 2021.03.20
에린 브로코비치  (0) 2021.03.14
다시, 미나리  (0) 2021.03.14
미나리  (0) 2021.03.12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0) 2021.01.25
나이트 스토커  (0) 2021.01.17
탈룰라  (0) 2021.01.10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  (0) 2021.01.10
시크릿 윈도우 - 스티븐 킹  (0) 2021.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