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읽기/과학을 읽다

생물학 이야기

by 똥이아빠 2022. 11. 22.
728x90

생물학 이야기

 

이 책을 읽으면서, 새로운 분야, 새로운 개념, 새로운 지식을 얻은 것도 상당히 많지만, 전체적으로 책의 내용을 무리 없이 읽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지은이가 글을 쉽게 썼기 때문이다.

평소에도 수학 관련 책을 좋아하고, 즐겨 있는데, 수학은 어렵지만, 수학이라는 학문을 둘러싸고 있는 명징한 과학적 검증과 증명, 이론, 추론, 추측, 정리와 같은 자연의 질서를 발견하는 과정이 몹시 흥미롭기 때문이다.

또한 수학자들이 바라보는 세계는, 지금 우리가 바라보는 세계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차원, 새로운 영역의 세계여서, 그것을 수학자의 안내를 통해 어렴풋 하게나마 느낄 수 있다는 놀라운 경험도 수학책을 즐겨 있는 이유가 된다.

이 책, <생물학 이야기> 역시 우리가 잘 알고 있을 것만 같은 '생물'을 주제로 다루고 있지만, 사실은 우리가 전혀 모르는, 알 수 없는 미지의 세계로 안내한다.

생물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지구의 생성 이후 발생한 모든 생명 활동과 인류의 삶을 이해한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 즉, 개인이 이해하기에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지식의 영역인 것이다.

그럼에도 저자는 생명의 기원부터 가장 최근의 학문인 뇌과학까지 생물학이 다룰 수 있는 거의 모든 영역을 다루고 있고, 또한 쉽게 설명하고 있다.

수학, 생물학, 물리학 등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의 영역은 결코 따분하거나 지루하거나 고리타분한 학문이 아니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 느낄 수 있다.

인류가-정확히는 인류의 0.1%의 과학자가 밝히고 있는 과학의 모습은, 우리가 눈과 귀로 확인하는 모든 예술의 형태-미술, 음악, 문학 등-보다 훨씬 더 아름답고 우아하며 신비하고(인간이 여전히 모르는 분야이므로), 경이롭다.

저자인 김웅진 교수는 이 책에서 단지 '생물학'에 관한 이야기만 하는 것이 아니고, 인류가 겪은 온갖 비합리적, 비과학적, 비논리적 사고방식과 태도의 근원에 대해서도 '과학적 이유'를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 단적인 예가 바로 '측두엽 발작'이라는 만성질환에 관한 것인데, 주로 신을 봤다던가, 종교적 확신을 가진다든가, 환청, 환각 증세를 보이는 질병에 관한 설명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종교와 신이라는 것이 바로 뇌 질환의 일부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과학의 힘 즉 '이성의 힘'이라는 것은 객관적 실제를 검증하고 확인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과학에 관한 공부를 하게 되면 종교나 미신과 같은 터무니 없는 망상에 빠질 일도 없고,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사회 현상에 대해서도 뚜렷한 자기 주관과 합리적 사고방식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즉, 어렸을 때 책을 많이 읽어주거나 어린이들이 책을 읽게 될 때, 위인전 따위보다는 쉽고 재미있게 쓴 과학책을 많이 읽히는 것이 온전한 이성적 인간으로 키우는 지름길이라는 것이다.

나 역시도, 과학책을 부지런히 읽기 시작한 것이 30대 이후부터였으니, 그 전까지는 상당히 무지몽매한 상태였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많이 배운 사람이건, 나이가 많은 사람이건, 똑똑한 사람이건, 돈이 많은 사람이건 간에 과학책을 많이 읽고, 과학적 사고방식 즉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사실을 인정하고, 사회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판단하며, 비이성, 불합리, 비논리, 불의에 저항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그 사람은 여전히 미개한 사람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이 책은 생물학 뿐만 아니라 과학, 인류, 진화, 역사 등에 관한 다양한 토론거리를 제공하는 '지식의 스프'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 책과는 직접 관련이 없지만, 지은이 김웅진 교수와는 페이스북에서 알게 되었는데, 그는 현재 미국 칼텍에서 교수를 하는 매우 유능한 과학자이면서 또 최근에는 북한 체제를 옹호, 홍보하는 역할을 스스로 나서서 하고 있다. 그가 북한을 좋아하고, 북한 동포를 아끼는 마음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북한 체제를 옹호하면서 한국(남한) 정부와 국민을 지나치게 비난하는 모습을 보면 안타깝다. 

김웅진 교수가 과학자로서의 모습을 더 깊이 있게 보여주는 것이 남북한의 정치 문제보다 더 중요하고, 우리 사회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물론 과학자도 정치, 사회 문제에 적극 발언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지금 김웅진 교수가 보여주는 편향성은 어느 쪽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쉽고 재미있는 생물학, 과학 관련 책을 꾸준히 써서 대중들이 비과학적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사회가 올바르게 발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반응형

'책읽기 > 과학을 읽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 디스커버리  (0) 2022.11.22
우주에는 신이 없다  (0) 2022.11.22
사소한 것들의 과학  (0) 2022.11.22
이기적 유전자  (0) 2022.11.22
현실, 그 가슴 뛰는 마법-리처드 도킨스  (0) 2022.11.22
왜 종교는 과학이 되려하는가  (1) 2022.11.22
생명의 도약 - 닉 레인  (0) 2022.11.22
친절한 화학 교과서  (0) 2022.11.22
진화란 무엇인가  (0) 2022.11.22
에덴의 강 - 리처드 도킨스  (0) 2022.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