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국문화산책_2020_기말시험

by 똥이아빠 2020. 11. 9.
728x90

과제명

다음 두 문제를 각각 2천 자 내외로 답하시오. (재소자도 동일)

1. 중국인(한족)의 전통적인 내세관을 서술하고, 그것이 조상숭배 의례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설명하세요. (35)

2. 중국인(한족)의 전통적인 세계관은 공간과 건축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 사례를 들어 설명하세요. (35)

 

1. 중국인(한족)의 전통적인 내세관을 서술하고, 그것이 조상숭배 의례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설명하세요. (35)

 

중국인들은 사후세계를 현실세계의 연장으로 인식했다. 삶과 죽음은 단절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며, 현재의 삶을 마치면 죽은 사람은 혼백이 되어 한동안 그가 살던 집, 마을, 가족 주위를 떠돌다 일정한 시간이 되면 흩어지거나 저승으로 간다.

이때 온전하게 죽음을 맞이하지 못한 사람의 영혼은 혼백으로 흩어지지 못하고 가 되는데, 귀는 이승에서 을 간직한 영혼을 말하며,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이승과 저승 사이에서 떠돌며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다.

혼백은 음백양혼으로 나뉘며, 영원불멸하는 양혼은 지옥에 끌려가 저승 관리의 재판을 받는다. 저승 관리는 양혼이 지상에서 행한 선과 악을 헤아려 판결을 내리고 그에 따라 일정한 장소로 배치한다. 죄를 범한 사람들은 그 정도에 따라 열 개의 지옥에서 벌을 받는데, 뜨거운 기름에 튀겨지거나 머리와 사지가 찢기는 벌이다. 이런 시련을 겪은 후 이들은 고통을 잊게 하는 약을 받아먹고 지상에 다시 태어난다. 윤회를 바라는 생각은 불교의 윤회 사상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양혼가운데 초자연의 세계에서 영원히 살아가는 존재는 조상으로 모시며, 이들을 극진하게 대접하고 제사를 지내는 것은 살아 있는 사람, 후손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돌아가신 부모, 조부모를 비롯해 윗대의 직계 가족의 혼백을 조상으로 모시는 것은, 대대로 이어지는 혈연의 중요성을 잊지 않기 위해서다. 조상을 섬기는 행위는 기본적으로 삶은 이어지고, 지속되며, 계승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후세에 전하려는 목적이다.

개인으로의 삶은 짧지만, 대를 이어 가족, 가문, 집안의 삶과 존재는 면면이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하고, 오래도록 이어가기를 바라는 의지가 반영되어 조상을 섬기는 제사, 제례가 중요한 행사, 행위로 자리잡게 되었다.

조상을 극진하게 모시는 행위는, 조상신의 보살핌을 받아 현세의 삶에 안위를 얻고, 무사, 평온, 발복하기를 바라는 마음과 함께 현실 사회 속에서 제사를 지내는 자신들의 사회적 존재, 사회적 위치를 확인하려는 요식 행위이기도 하다.

제사는 가문의 권위와 사회적 권력 관계를 드러내는 행위이며, 집안의 대가족들이 결집, 화합하는 과정이자, 대가족 중심 사회를 이어가는 가부장 전통사회의 상징이기도 하다.

혼백이나 조상보다 더 상위 개념의 절대적 존재는 자연을 의인화한 이다. 신은 하늘(천국)을 관장하는 옥황상제, 지하(지옥)을 관장하는 염라대왕을 필두로 자연의 모든 곳에 신이 존재하며, 인간의 생활 속에서 부엌에 상주하는 조왕신을 비롯해 오래된 나무, 바위에도 신이 살고 있다고 믿는다.

날씨, 농사, 토지, , 죽음, 탄생, 영웅 등 인간이 전통 방식으로 살아가면서 필요한 모든 분야에는 그것을 관장하는 신이 존재하며, 신을 받들고 순종하는 것이 평온하고 순조로운 삶이라는 것을 중국인들은 확실하게 믿었다.

신은 ’, ‘조상보다 가장 강력하고 경외로운 존재로, 현실 사회에서 강력한 힘을 가진 관료 체제의 이미지를 투사한 형태를 보인다. ‘신을 모시는 신전도 왕조의 관료기구를 모방해 지방을 관할하는 신부터 황제에 상당하는 최고식까지 피라미드식 위계를 이루고 있다.’

중국인들이 혼백, , 신을 아우르는 내세관을 갖게 된 것은 그들이 자연과 분리될 수 없는 전통 방식의 삶을 오래도록 유지한 것에 바탕한다. 농경사회에서 자연의 변화는 삶에 직접 영향을 주는 힘을 갖고 있으며, 삶과 죽음은 자연의 순환과 함께 자연스럽게 순환, 윤회하는 사상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죽음은 현실 세계와 단절되지 않으며, 죽음 이후에도 새로운 세계에서의 삶을 이어지며,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다시 현실 세계에서 다른 모습으로 태어난다는 윤회는 원시적 관념에서 불교의 세련한 윤회사상까지 받아들이며 발전했다.

혼백, , 신을 섬기고, 조상을 모시는 행위는 죽음 이후 세계에서 살아가는 죽은 사람-주로 집안의 어른-이 여전히 살아 있는 사람-후손-의 삶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하며, 이승의 사람들은 저승에 있는 사람이 잘 살 수 있도록 제사를 지내며 정성을 빌고, 이런 정성은 조상의 보살핌으로 이어져 집안의 평안과 행복이 유지된다고 믿는다.

조상을 섬기고 제사를 지내는 행위는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을 확립하고 집안의 안녕과 평화를 구하는 의미를 지니며, 제사와 제례를 통해 현실 세계에 사는 사람들이 화합, 단합하는 효과를 얻고, 삶을 풍요롭게 하는 축제의 기능으로 작동했다.

 

 

 

2. 중국인(한족)의 전통적인 세계관은 공간과 건축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 사례를 들어 설명하세요. (35)

 

중국은 광활한 지역이어서 동쪽이 낮고, 서쪽이 높으며 남과 북의 기후와 환경이 사뭇 다르다. 북쪽은 온도가 낮고, 습기가 적으며 겨울이 길고 춥다. 따라서 건축에서 보온, 난방이 중요하며, 채광이 필요했다. 건축 형태는 처마가 짧고, 천장이 낮으며, 벽이 많고, 창문이 작은 밀폐형 구조로 구성되고, 비가 적게 내려 지붕은 평면이 많다.

남방 주택은 덥고 습한 기후 조건과 비가 많이 내리고, 뜨거운 햇살을 막아야 하는 조건이어서 천정이 높고, 바람이 잘 통하도록 실내외 구조가 개방적이며, 창문을 크게 내고, 채광을 막기 위해 처마가 길고, 폭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붕에 경사를 주었다.

환경에 적응하려는 중국인들은 지역에 따라 독특한 건축물을 만들어 살았다. 건축물은 인간의 삶을 응집한 물질적 형태의 표현이므로, 시대와 지역, 환경에 따라 매우 다르게 드러난다. 중국 남부 광둥성의 카이핑에는 요새형 돌집이 무려 1833채 남아 있는데, 이 건물들은 2007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기도 했다. ‘카이핑이라는 지명은 개시태평즉 이제 태평한 시대로 들어선다는 뜻인데, 지명과는 전혀 다른 의미로 지어진 건축물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아이러니다.

이 돌집은 댜오러우로 부르는데, 적의 공격을 막기 위해 망루가 있고, 화살이나 총을 쏠 수 있는 총안이 있다. 이 건축물은 17세기부터 짓기 시작해 20세기 초반까지 건축이 이어졌는데, 주로 외국에서 돈을 벌고 귀국한 화교들이 도적떼의 위협으로부터 자신들을 지키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댜오러우에도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부유하지 않은 사람들이 모여 함께 사는 형태를 중루’, 형편이 좋은 사람들이 단독으로 짓고 사는 형태를 거루’, 마을 앞쪽에 지어 전초기지의 역할을 하는 갱루가 있다.

토루, ‘투러우는 삼국지로 널리 알려진 위진 남북조 시대에 북부에서 남부로 이주한 사람들이 자립적, 독립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은 건축물로, 수백 명이 함께 거주하는 거대한 집합 건축물이다. 초기에는 여러 성씨의 사람들이 모여 살았지만, 점차 단일한 성씨만 모여 살기도 했다.

초기 투러우는 정방형 형태로 지었지만, 나중에 원형으로 변화했다. 외벽 담의 두께는 1.5미터에서 2미터 정도로 두껍고, 높이는 약 10미터에 이를 정도로 높다. ‘토루라는 이름처럼 진흙을 발라 짓지만, 내부는 목재 구조로 견고하게 지었다. 융딩 현에만 약 23천여 채의 투러우가 있고, 이 지역은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안후이성의 후이저우 민거역시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해 견고하고 완벽하게 차단한 건축물이라는 점에서 중국의 역사를 반영한다. 이 주택의 특징은 높은 벽, 작은 문, 외부에 드러나지 않는 창문, 깊은 뜰, ‘하늘의 우물이라고 부르는 천정의 형태, 여러 개의 문으로 이어지는 폐쇄적 구조 등이다.

후이저우 일대에 있는 이 건축물은 약 7천여 채가 있으며, 산간지역으로 토양이 척박해 다른 농사를 짓지 못하고 차를 재배하던 사람들이 찻잎으로 판매로 돈을 벌면서 건축물을 크고 화려하게 짓기 시작한 결과이기도 하다.

산시성에 있는 왕가대원, 교가대원은 민간 주택이지만 황제가 살았던 황궁 자금성보다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산시성은 북방 유목민족이 침입하는 통로여서 가을이 깊어지면 주민들의 피해가 막심했는데, 이것을 막기 위해 건축물도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해 높고 견고하게 지었다.

왕씨와 교씨가 지은 대저택이라는 의미의 왕가대원’, ‘교가대원민가의 자금성이라 불릴 만큼 거대한 규모다. 전체 면적은 25만 제곱미터, 건축 면적은 45천 제곱미터, 정원이 123, 방이 무려 1,118개나 된다. 집 외부 담장은 10미터 높이로, 외부에서 침입하기 어렵고, 망루가 있어 외부의 침입을 감시할 수 있다.

사합원은 수도 베이징의 대표적 민간 건축물로, 외부는 견고하고 두꺼운 담으로 둘러싸여 있고, 문과 문이 이어지는 복잡하고 폐쇄적인 건물이다. 중국 북방 건축물의 특징인 폐쇄적이고 견고하며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런 건축물의 특징은 내부와 외부를 철저하게 구분하는 배타성에 있다. 역사적으로 외부의 침입을 경계해 만들기 시작한 건축물이 이런 배타성을 보여주고, 크게는 외적의 침입부터, 작게는 가족과 이웃의 경계를 가르고 가족 중심의 세계를 구축하는 내향적 지향성을 드러내고 있다.

 

 

 

 

 

 

 

 

반응형